사교육과입시

2025학년도 수능은 2024년 11월 14일 실시 (현 수능체계 유지) 교육부 발표

반기자 2022. 8. 25. 12:29
반응형

2023학년도 수능을 80여 일 앞둔 8월 24일,

  교육부에서 발표한 2025학년도 수능체계 정리 

 

 

 

주요 일정과 내용
  • 2025학년도 수능일 : 2024년 11월 14일 (목) 
  • 성적통지일 : 2024년 12월 6일 (금)
  • 2025학년도 수능도 2022학년도부터 변화된 수능 체계 유지

사진출처 : 픽사베이

 

 

 

수능 기본계획
국어 공통과목 75% (독서/문학) + 선택과목 25% (화작/언매) 중 택1
수학 공통과목 75% (수학1, 수학2) + 선택과목 25% (확통/미적/기하) 중 택1
영어 절대평가
탐구 (사회,과학) 총 17개 과목중 최대 2개 선택
탐구 (직업) 총 6개 과목중 최대 2개 선택
한국사 필수선택, 절대평가
제2외국어/한문 총 9개 과목중 1개 선택, 절대평가

 

 


 

중요한 체크 포인트!

 

현재 고1 학생이 치르는 2025학년도 수능은 2022학년도부터 변화된 수능 체계를 유지한다. 국어 수학 탐구영역 공통 + 수선택 과목 구주 유지 마 혀 사과탐의 구분을 폐지 한 수능 체계이다. (2025학년도 수능) 

 

 

출 체 방식 또한 5지 선다형이며 수학영역만 주관식이 단답형이 존재하는 형태이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 보인 것처럼, 국어와 수학에서 선택과목 보다, 공통과목의 비중이 월등하게 크기 때문에,  여러 입시 전문가들은 지난해 수능을 겪고, 경험을 토대로 고1부터 공통과목의 비중을 두는 학습 방법을 택하길 권하고 있다. 선택과목에 따라 변별력은 분명 존재 하지만, 무엇보다 공통과목의 완성도가 중요함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문이과 통합형태의 수능이 치뤄지면서 문과생이 불리하다는 인식으로, 많은 문과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과는 무관하게 이과 생들이 치르는 수능과목을 선택하여 응시 하고자 하는 경향이 보여지는데, 이또한 섣부른 결정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서, 선택해야 할것으로 보여진다. 

 

 

수능에서 한두점 차이의 점수와 선택과목의 유불리는 무시할 수 없지만, 자신에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 있어서 적성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는걸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2025학년도 수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