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과입시

2023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 주요 특징

반기자 2021. 11. 22. 12:21
반응형

 

수도권 정시 모집인원증가, 비수도권 수시모집 모집인원 증가

    > 전체 모집인원은 349,124명으로 2022학년도보다 2,571명 증가

       2021학년도 347,447명 → 2022학년도 346,553명(-894명)

       2022학년도 346,553명 → 2023학년도 349,124명(+2,571명)

 

    > 수시모집에서 전년대비 선발 비율 증가

       수시모집에서 전체 모집인원 349,124명 중 78.0%인 272,442명 선발

       전년대비 수시모집 10,064명(+2.3%p) 모집인원 증가(※ 전년대비 정시모집 7,493명(-2.3%p) 모집인원 감소)

학년도 수시모집 정시모집 합계 증감
수시 정시
2023학년도 272,442
(78.0%)
76,682
(22.0%)
249,124
(100.0%)
10,064 -7,493
2022학년도 262,378
(75.7%)
84,175
(24.3%)
346,553
(100.0%)
-4,996 4,102

* 증감에서 구성비의 증감은 반올림으로 인해 차이가 있을수 있음

 

    > 권역별 모집인원

       수도권 정시모집 모집인원(825명)증가

       비수도권 수시모집 모집인원(8,669명) 및 선발비율 (+3.9%) 증가

구분 권역 수시모집 정시모집 합계 증감
수시 정시
2023학년도 수도권 85,220(64.7%) 46,562(35.3%) 131,782 1,395 (-0.0%p) 825 (0.0%p)
비수도권 187,222(86.1%) 30,120(13.9%) 217,342 8,669 (3.9%p) -8,318 (-3.9%p)
합계 272,442(78.0%) 76,682(22.0%) 349,124 10,064 (2.3%p) -7,493 (-2.3%p)
2022학년도 수도권 83,825(64.7%) 45,737(35.3%) 129,562 -6,443 (-4.8%p) 6,153 (4.8%p)
비수도권 178,553(82.3%) 38,438(17.7%) 216,991 1,447 (0.9%p) -2,051 (-0.9%p)
합계 262,378(75.7%) 84,175(24.3%) 346,553 -4,996 (-1.2%p) 4,102 (1.2%p)

 

 

 

 

수시모집 학생부위주, 정시모집 수능위주 선발 기조 유지

    > 수시모집 학생부위주, 정시모집 수능위주 선발기조 유지

       수시모집에서 235,854명(86.6%)을 학생부위주(교과, 종합)로 선발

       정시모집에서 69,911명(91.2%)을 수능위주로 선발

       수시모집에서 전년대비 비수도권 학생부위주(교과)는 5,261명(-0.3%p), 학생부위주(종합)은 1,768명(-0.1%p) 증가

       정시모집에서 전년대비 수도권 수능위주 모집인원 및 선발비율(1,361명, +1.3%p) 소폭 증가

전형유형 2023학년도(A) 2022학년도(B) 증감(C)=(A)-(B)
학생부위주(교과) 154,716(44.3%) 148,707(42.9%) 6,009(1.4%p)
학생부위주(종합) 81,703(23.4%) 79,850(23.0%) 1,853(0.4%p)
논술 11,016(3.2%) 11,069(3.2%) -53(-0.0%p)
수능 69,911(20.0%) 75,978(21.9%) -6,067(-1.9%p)
실기/실적 27,164(7.8%) 26,287(7.6%) 877(0.2%p)
기타 4,614(1.3%) 4,662(1.3%) -48(-0.0%p)
합계 349,124(100.0%) 346,553(100.0%) 2,571

 

 

 

고른기회 특별전형 정원내 선발비율 증가

   >  균등한 고등교육 제공을 위하여 「2023학년도 대학입학전형기본사항」에 대학이 고른기회 특별전형을 반드시 실시하도록 명시함  / 회원대학 모두 고른기회 특별전형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선발 비율 증가 / 21학년도 47,606명 → 22학년도 53,546명(+1.7%p) → 23학년도 55,279명(+0.4%p)

구분 2023학년도(A) 2022학년도(B) 2021학년도(C) 2023학년도 증감(D) 2022학년도 증감(E)
정원내 31,027 (8.9%) 29,103 (8.4%) 23,344 (6.7%) 1,924 (0.5%p) 5,759 (1.7%p)
정원외 24,252 (6.9%) 24,443 (7.1%) 24,262 (7.0%) -191 (-0.1%p) 181 (0.1%p)
합계 55,279 (15.8%) 53,546 (15.5%) 47,606 (13.7%) 1,733 (0.4%p) 5,940 (1.7%p)

*  괄호안 비율은 전체 모집인원 대비 고른기회 특별전형 선발인원 비율

 

   >  지역인재 특별전형

      지역인재 특별전형 운영 대학 및 모집 비율이 꾸준히 증가함

      21학년도 16,521명 → 22학년도 20,783명(+1.2%p) → 23학년도 → 21,235명(+0.1%p)

구분 2023학년도(A) 2022학년도(B) 2021학년도(C) 2023학년도 증감(D) 2022학년도 증감(E)
대학수 93개교 92개교 86개교 1개교 6개교
모집인원 21,235 (6.1%) 20,783 (6.0%) 16,521 (4.8%) 452 (0.1%p) 4,262 (1.2%p)

 

 

 

 

2015개정교육과정 취지에 따른 대학별 수능 선택과목 지정 현황

   >  공통+선택형 구조 도입의 수능체제 개편에 따라 수능 선택과목 지정

      수능위주/일반전형/정원내 입력자료 기준

      국어영역에서 모든 대학이 선택과목 구분 없이 1개과목 반영

      수학영역에서 대다수 대학이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중 1개과목 반영 (미적분, 기하 중 1개과목 반영대학 약 26%)

      탐구영역에서 대다수 대학이 과목 구분없이 사회, 과학탐구(직업탐구) 반영

구분 선택과목 2023학년도(A) 2022학년도(B) 증감
국어영역 언어와 매체,
화법과작문 중 선택
183개교 185개교 -2개교
수학영역 미적분,기하,확률과 통계 중 선택 175개교 177개교 -2개교
미적분,기하 중 선택 58개교 55개교 3개교
확률과 통계 선택 3개교 3개교  
탐구영역 탐구영역(사회,과학,직업) 중 선택 104개교 107개교 -3개교
탐구영역(사회,과학)중 선택 96개교 92개교 4개교
탐구영역(과학) 선택 62개교 61개교 1개교
탐구영역(사회) 선택 2개교 2개교  

 

2021년 4월 46일자 기준으로 한 인원으로 작성된 포스팅 입니다.
출처 : http://www.kcue.or.kr

 

@pixabay.com

반응형